6주 차다..... 벌써 코드스테이츠 학습 기간의 절반을 채워가고 있다. 남은 기간 동안 파이팅 해보자!
이번 주 과제는 평소 자주 쓰거나 관심 있는 프로덕트 또는 앞서 위클리 과제에서 선정한 프로덕트의 고객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것이 과제이며 나는 다양한 프로덕트를 경험해보고 싶어 이번에는 다른 프로덕트를 진행해 보려고 한다. 또한 이번 과제의 순서는 1. Flow Chart 작성, 2. 데이터 수집 및 가설 설정, 3.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순으로 진행된다. 그렇다면 힘내서 과제를 시작해 보자!
내가 정한 프로덕트 : 시리즈 출처:시리즈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프로덕트 "시리즈"이다. 여기서는 다양한 작가의 소설을 볼 수 있으며 현재 네이버 웹툰에 연재 중인 웹툰 원본 소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나 또한 소설을 좋아하여 시리즈를 틈날 때 보고 있으며 대부분의 쿠키를 시리즈에 굽는 자칭 "충성 고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시리즈의 플로우 차트는 어떤 식으로 흘러갈지 생각해 보았고 고객이 할 수 있는 여러 행동 중 중요한 쿠키 충전에 관한 플로우 차트를 그려보았다.
1. Flow Chart 작성
-플로우 차트를 작성하고 UI, 클라이언트, 서버, DB가 각각 어떻게 보이고 작동할지 예상하여 적어보자.
범례
먼저 범례이다. 범례는 아무것도 모르는 제삼자가 보아도 이해할 수 있게 플로우 차트에 대한 기본 설명을 해주는 표이다.
내가 그린 플로우차트의 범례는 이렇게 정리해 보았다.
Flow Chart
처음 접해보고 그려보는 플로우 차트라서 스스로 판단하기에 아직 부족하다고 느꼈다. 고객이 행동할 수 있는 범위는 너무 넓었고 모두 적고 싶었지만 한 화면에 담기에는 부족하다고 느껴 쿠키 결제 프로세스를 선택하였다.
UI, 클라이언트, 서버, DB 예상
UI
사용자는 메인화면에서 쿠키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하기 버튼을 누른다.
쿠키내역과 일반 패키지 쿠키를 보여주며 쿠키내역을 누를 시 남아있는 쿠키개수와 무료쿠키 보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 패키지 항목에서는 1개부터 500개까지 원하는 쿠키의 수량을 충전할 수 있으며 옆에 있는 금액 버튼을 누를 시 결제 화면으로 전환한다.
결제 화면에서는 네이버 페이로 결제하기와 Google Play로 결제하기 중 선택할 수 있다.
네이버 페이로 결제하기를 누르면 네이버 페이지로 넘어가 포인트 머니를 사용할지, 전액 사용할지, 얼마 사용할지 사용자가 정할 수 있으며 페이 머니가 결제해야 하는 금액과 같거나 더 많으면 결제 수단 페이지를 비활성화하여 페이 머니로 결제 가능하다.
Google Play결제 화면에서는 결제 수단을 누르면 내가 Google Play에 등록한 카드나 계좌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잔액이 부족하면 잔액부족 표시가 나오고 원하는 결제 수단을 클릭하여 원 클릭 구매 버튼을 누르면 충전이 완료되어 시리즈 쿠키 내역 화면으로 넘어온다.
클라이언트, 서버, DB
사용자는 쿠키를 충전하고자 한다.
쿠키 내역클릭 시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남은 쿠키를 서버에 요청해 확인한다. 서버는 DB에서 확인 후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쿠키 충전클릭 시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에게 충전할 수 있는 쿠키의 선택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 시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는 DB에서 확인 후 그 금액에 맞는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아직 DB, 클라이언트, 서버에 대해 배운 게 없어 검색을 통해 알아낸 생각을 가지고 작성해 보았다.
2. 데이터 수집 및 가설 설정
가설 1. 우리나라 모바일 콘텐츠 이용자 수는 미이용자 수보다 많을 것이다.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가설 설정 이유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람들이 모바일 서비스에 더 많은 시간을 투여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모바일 콘텐츠의 시장이 커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가설 검증 가능 지표
1. 우리나라 지역별 모바일 콘텐츠 이용 유무 설문조사 진행
해당 지표 선택 이유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바일 콘텐츠 이용 유무를 알기 위해
시각화 형태 및 이유
이용자와 미이용자를 비교하기 쉽도록 '세로 막대그래프'로 표현
가설 2. 웹소설 이용자들의 월평균 유료 결제비용은 2만 원 정도일 것이다.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가설 설정 이유
웹소설에는 다양한 유료결제 방식이 존재하는데 대부분 싼 가격에 한 편을 구매할 수 있어 내가 생각하는 사람들의 월평균 결제비용은 2만 원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설 검증 가능 지표
1. 웹소설 이용자의 월평균 유료 결제비용에 대한 설문조사 진행
해당 지표 선택 이유
이용자의 월평균 유료 결제비용에 대해 알기 위해
시각화 형태 및 이유
응답 결과를 한눈에 비교하기 쉽도록 '세로 막대그래프'로 표현
가설 3. 시리즈 이용자는 10~20대의 직장인 및 대학생이 많을 것이다.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가설 설정 이유
네이버 시리즈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프로덕트라서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존재하겠지만 웹툰에 흥미가 많은 10대~ 20대가 주 이용 고객이라고 생각이 든다.
가설 검증 가능 지표
1. 이용자들의 직업에 대하여 설문조사 진행
해당 지표 선택 이유
이용자들의 직업에 대해 알기 위해
시각화 형태 및 이유
응답 결과를 한눈에 비교하기 쉽도록 '세로 막대그래프'로 표현
3.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
이제 정리한 데이터 및 가설을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시간이다. 먼저 알아보기 쉽게 정리를 하면
가설 1. 우리나라 모바일 콘텐츠 이용자 수는 미이용자 수보다 많을 것이다.
해당 지표 선택 이유
우리나라 사람들의 모바일 콘텐츠 이용 유무를 알기 위해
시각화 형태 및 이유
이용자와 미이용자를 비교하기 쉽도록 '세로 막대그래프'로 표현
가설 2. 웹소설 이용자들의 월평균 유료 결제비용은 2만 원 정도일 것이다.
해당 지표 선택 이유
이용자의 월평균 유료 결제비용에 대해 알기 위해
시각화 형태 및 이유
응답 결과를 한눈에 비교하기 쉽도록 '세로 막대그래프'로 표현
가설 3. 시리즈 이용자는 10~20대의 직장인 및 대학생이 많을 것이다.
해당 지표 선택 이유
이용자들의 직업에 대해 알기 위해
시각화 형태 및 이유
응답 결과를 한눈에 비교하기 쉽도록 '세로 막대그래프'로 표현
가설 1에 대한 분석 결과
이 가설을 세로 막대그래프로 시각화하였다. 먼저 시각화 결과로는 우리나라 인구분포도에 따른 경기도, 서울특별시에 조사자가 제일 많았으며 전체적인 결과는 이용자 수가 미이용자 수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실제 결과들과 비교해 보도록 하자.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실제 결과로도 보여주듯 많은 디지털 콘텐츠 중에서 웹소설이 인기가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내가 예상한 가설과 실제 데이터 분석이 일치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또한 흥미로운 사실은 웹 소설 미이용자 들 중 평소 독서를 하는 이용자가 34.7%로 굳이 웹이나 앱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은 독서에 흥미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이러한 인사이트를 추출하여 내가 생각했던 가설과 데이터가 일치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굳이 웹소설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평상시에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는 결과를 보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독서에 흥미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가설 2에 대한 분석 결과
가설 2에 대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세로 막대그래프로 나타냈다. 내가 예상한 결과는 웹 소설 이용자의 월평균 결제비용이 2만 원 일 것이라 예상을 했으며 평균 2~3만 원 결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실제 데이터 결과와 비교해 보자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먼저 웹소설 유료 결제 이용 여부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웹소설을 이용하는 사람들 중에 유료 결제 이용 경험은 72.4%로 결제 경험이 없는 27.6%보다 약 2.5배 정도 많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렇다면 도대체 한 편당 비용이 얼마이길래 사람들은 이렇게 많은 결제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것일까.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유료작품 편당 가격의 조사 결과 편당 100원이 61.5% 편당 300원이 20.8% 500원이 12.8% 등 평균적으로 100원이라는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또 위의 결과를 보면 유료 결제 이용자들은 현재 100원이라는 가격이 보통이라는 생각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유료작품 편당 100원으로 등록되어 있어 이러한 인식이 많이 남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러면 이제 본론으로 돌아가서 사람들의 월평균 결제비용을 알아보자
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평균적으로 1~3만 원 미만이 34.3%로 가장 많은 지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내가 예상한 가설과 일치하다는 내용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번 결론을 내기 위해 다양한 인사이트를 가지고 비교를 해보며 단계 단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렇게 정리를 해보니 머릿속에 쏙쏙 들어와서 좋았다. 하지만 이제 웹툰의 경우에 점점 편당 비용이 오르고 있기 때문에 웹소설도 곧 편당 비용이 오를 것이라 생각이 든다. 이럴 경우에 사람들의 결제 유무와 월평균 지출비용도 궁금해지는 시간이었다.
가설 3에 대한 분석 결과
가설 3에 대한 결과를 시각화하여 세로 막대그래프로 나타냈다. 내가 예상한 결과는 평균 연령별 이용자 중 10대~20대가 가장 많을 것이라 생각하였고 제일 많은 20대는 26.8% 10대는 20.4%로 나타내고 있다.
그렇다면 실제 데이터 결과와 비교해 보자
출처:마케팅클라우드
결과를 보면 직장인은 33.2%로 가장 많은 지표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상외로 수험생이 두 번째로 많은 지표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마케팅클라우드
또한 흥미로운 사실은 신생아/유아 부모와 초등학생 부모도 시리즈를 많이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혼인/연애 상태에서는 미혼자보다 기혼자가 더 많은 지표를 나타내는 의외의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아마 라이프 스테이지 2에서 나타내는 부모들의 지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아직 왜 기혼상태에서의 네이버 시리즈를 이용하는 비율이 더 많은지는 모르겠다..
결론
:이번 결론에서는 내가 예상한 가설과는 조금 다른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나는 네이버 시리즈를 이용하는 고객이 10대~20대가 더 많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예상외로 20대~30대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나 의외인 것은 기혼 고객이 더 많다는 결과였다 내가 생각할 때에는 아무래도 미혼 상태여야지 여유 시간이 많아져서 취미 활동을 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