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 10

PMB 마지막 회고

13주 간의 PMB 부트캠프 기간이 오늘로 끝이난다. 배운 것도 많고 못 따라간 것도 많았는데 못 따라간 부분에 대해 인터넷으로 검색하고 다시 한번 강의를 들으며 결국 내 것으로 만들었다. 길면 길고 짧으면 짧았던 기간인데 동기분들과 이런 저런 앞으로의 얘기를 하며 잘 지냈고 모두 좋은 회사에 입사해서 행복했으면 좋겠다!!

[Weekly]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5 # 그로스해킹

벌써 5주 차 과제를 진행하려 한다. 과제는 총 8주까지 있는데 2/3를 진행한다니 믿기지 않는다. 이번 과제는 먼저 웜업으로 내가 관심 있는 프로덕트를 1개 선정하여 그 프로덕트의 퍼널을 분석하는 것 그럼 이제 시작하려 한다. 관심 있는 프로덕트 : 야놀자 야놀자는 내가 평소에 놀러 갈 때 숙박 업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주 이용하는 프로덕트이다. 이 프로덕트는 숙박 앱 중에 인기 있는 앱으로 손에 꼽힌다. 그렇다면 야놀자의 퍼널과 AARRR에 대해 분석해보려 한다. 야놀자의 Funnel 내가 생각하는 야놀자는 강의에서 배웠던 페이스북의 4단계 퍼널과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먼저 사용자를 획득하고, 활성화 후, 유지하며, 추 후에 다시 이용하기 위해 전환한다는 방식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내가 생각하는 야..

[코드스테이츠 PMB18] W4 회고

4주 동안 많은 걸 배웠다. UX부터 시작해서 UI, GUI, Figma, UX라이팅 등 4일 동안 여러 가지 디자인에 관련해서 배웠고 PM이 디자인 툴을 이용해서 해야 할 일과 어떤 상황에서 써야 하는지, 그리고 PM이나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 등 내가 평소 앱을 이용하면서 보았던 내용들이 PM이나 서비스 기획자가 작성을 했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 다시 한번 텍스트들을 유심히 보게 되었다. 그렇다면 다시 한번 기억을 되새길 겸 하나씩 간략하게 설명을 써야겠다. 먼저 UX (User Experience)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 간접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총체적 경험" 사용자가 느끼는 경험 사용자가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 UI (User Interface) ..

[Weekly]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4 # MVP 구체화

이번주는 MVP를 구체화해야 한다. 하기 전 워밍업으로 내가 평소에 자주 쓰는 "알라미"앱에 대해 좋은 UX와 아쉬운 UX를 나눠보려 한다. 자주 사용하는 프로덕트 : 알라미 현재 아침에 나의 잠을 깨워주는 좋은 친구 알라미이다. 이 앱을 사용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제공하는 시끄러운 벨소리가 잠을 확 깨우게 해 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용하며 겪은 좋은 UX와 아쉬운 UX는 무엇이 있을까? 좋은 UX 깔끔한 UX로 사용자가 알람을 맞추기 쉽고 알람을 하나 맞춰두면 복제하여 요일을 다르게 지정하거나 시간을 다르게 지정하기도 간편하다는 점. 아쉬운 UX 아침에 여러 개의 알람을 맞춰두는 나는 첫 번째 알람에서 깨면 나머지 알람들을 다음 알람 건너뛰기를 해줘야 한다. 이 부분에서 상당히 아쉬움을 느꼈다. ..

[코드스테이츠 PMB18] W3 회고

벌써 3주라는 시간이 흘렀다. W2 회고는 자격증 공부를 하느라 쓸 시간이 없었지만.. "이번엔 그래도 써야지!"라는 생각에 시간을 투자해서 회고록을 작성하려 한다. 3주 차가 끝나면서 시간이 매우 빨리 지나가는 게 느껴졌고 앞으로 남은 10주 동안 내가 뭘 해야 할지 생각을 해보려 한다. 이번에도 저번과 마찬가지로 KPT 방법으로 미래의 나에게 동기부여를 주려한다. Keep : 긍정적인 요소 수업 진행하면서 끝나고 자격증 공부하기 W2부터 실행한 방법이다. 6시까지 본 수업에 최선을 다해서 임하고 그 후에 자격증 공부를 하고 있는데 벌써 2번이나 떨어졌다.. 하루에 3~4시간씩 기출문제 위주로 풀고 있지만 기출문제에서는 점수가 잘 나오는 반면 시험장에 가면 기억이 사라진다. 그래도 포기하거나 좌절하지 ..

[Weekly]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3 # 내가 선정한 Product의 BM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먼저 시작하기에 앞서 던파 ON에는 BM요소가 없어서 던전 앤 파이터라는 게임 자체의 BM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던파 ON이 필요한 이유와 던전 앤 파이터와 던파 ON의 관계, 던파 ON이 하는 역할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던전 앤 파이터의 BM 던파는 BM 시스템으로 매 월마다 판매하는 이달의 아이템, 아바타, 진 각성의 서 패키지, 달인의 계약, 해방의 열쇠, 칭호, 크리처 등을 BM상품으로 출시하고 있다. 던전 앤 파이터의 BMC 내가 생각하는 던전 앤 파이터의 간략한 BMC이다. 순서 대로 설명을 하자면. 1) 고객 - 던전 앤 파이터의 핵심 고객? 던전 앤 파이터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큰 범위의 핵심 고객은 던파를 이용하는 사용자라고 생각한다. 이 중에서 세분화를 해보면 1.어릴적 오락실 ..

[Weekly]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2 # 내가 관심 있는 Product를 고객 중심으로 개선해보자!

던파 on! 던전 앤 파이터 게임을 즐겨하는 사람들을 위한 "커뮤니티 앱"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던파 ON에는 여러 가지 기능들이 있으며 사람들은 주로 자유게시판, 공략 글, 템세팅 글, 혹은 포인트 교환 등을 이용하기 위해 앱을 사용한다. 프로덕트 분석 핵심 고객 Target Persona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서울 잠실에 거주 중이며 OO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24살 대학생 김OO입니다. 저는 이번에 새롭게 던전 앤 파이터라는 게임을 친구와 시작을 하였는데요. 방과 후 과제를 끝내고 자기 전까지 던파만 즐기는 던파인생 유저랍니다. 이번에 110 렙 만렙을 찍어서 이제 슬슬 에픽 장비 파밍을 하려고 던파 ON이나 홈페이지를 켜서 템세팅 관련하여 알아보는 중에 다른 건 잘 정리되어 있지만 장비추..

[코드스테이츠 PMB18] W1 회고

벌써 1주일이라는 시간이 흘렀고 1주 동안 배우면서 어떤 생각이 들었냐 물어본다면 "나는 아직 우물 안의 개구리다"라는 답변을 해줄 것 같다.... 수업을 듣고 학습을 하다 보면 동기들은 여러 가지 질문도 잘하고 되게 전문적인 동기분들도 몇 보이곤 하기에 저런 생각을 하게 된 것 같다.. 그래서 미래의 나에게 동기부여를 해주기 위해 이번 주를 회고하며 다음 주를 준비하려 한다. Keep : 긍정적인 요소 필요한 자료 조사 하기! IT산업에 대해 잘 모르는 나는 1일 차부터 현재까지도 수많은 자료를 검색하고 필요한 부분은 내가 정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PM에 대해, 서비스 기획자와 PM의 차이, 애자일, 워터폴, 관심 있는 시장 조사, 점유율, 분기 별 정산 등등... 물론, 정확하지 않을 수 도 있지만..

[Weekly]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1 #내가 관심 있는 Product는 어떤 전략으로 위치해 있는가?

이번 Weekly 주제로 내가 관심 있는 Product에 대해 분석하고 작성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를 하는 8주 동안 하나의 제품을 정하고 그 제품을 8주간 분석해야 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기로 하였다. 처음부터 내가 PM이 되려 한 이유가 무엇일까를 되짚어보니 게임을 좋아하는 나는 게임기획자가 되려고 알아보다가 코드스테이츠에 신청하게 되었고 그러한 이유로 재미있게 한 게임 중 한 가지 던전앤파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W1 Weekly 학습목표 - 관심 있는 프로덕트는 무엇인가 - 해당 프로덕트에 대해 When, Where, Why, How, What을 분석하기 - 해당 프로덕트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분석하기 - 해당 프로덕트의 직접적인 시장 분석하기 - 해당 프로덕트의 경쟁 프로덕트..

KakaoTalk은 무엇을 어떻게 하였는가

개인 공부 - 관심 있는 프로덕트는 무엇인가 - 해당 프로덕트에 대해 When, Where, Why, How, What을 분석하기 - 해당 프로덕트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분석하기 - 해당 프로덕트의 직접적인 시장 분석하기 - 해당 프로덕트의 경쟁 프로덕트 조사하기 - 해당 프로덕트를 성장시키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하기 관심있는 Product : Kakao Talk 개발사 : Kakao 출시 : ● 2010년 3월 18일 (ios, 13주년) ● 2010년 8월 23일 (안드로이드, 12주년) ● 2013년 6월 20일 (Microsoft Windows, 9주년) ● 2014년 5월 29일 (macOS, 8주년) 종류 : 인스턴트 메신저, SNS, 커뮤니케이션 계정 관리 : 휴대전화 번호, 카카오계정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