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자/공부 과정

전략의 시작 : 시장 조사, 포지셔닝 맵

쑤tory 2023. 4. 6. 11:29
시장 조사

 

성공적인 사업을 하려면 누가 고객이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이며, 어떻게 고객에게 접근할 것인지 알아야 한다.

만약 내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제품을 출시하려 하는데 무턱대고 유행이 지난 제품을 출시하거나 주요 고객층의 나이와 벗어나는 제품을 출시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라고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왜?

사업 운영 환경은 매우 역동적이다. 경제 상황의 변화, 인구통계적 변화, 신규 법규나 기술의 변화 등이 사업 운영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 조사를 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과 어떤 효과를 볼 수 있는지 알아보자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은 대표적으로 시장 규모, 대표 고객층, 시장 트렌드, 경쟁사 및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을 알아봐야 하고

볼 수 있는 효과로는 

  • 고객의 특성 및 선호를 잘 알 수 있다.
  • 매출을 늘리고 사업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인지할 수 있다.
  • 시장의 경쟁 정도 파악할 수 있다.
  • 사업을 시작하기 전 제품 결정에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사업을 하기에 가장 중요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시장 조사의 방법

조사를 하기에 앞서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목표를 확실하게 세워야 한다. 무엇을 알아야 하고 왜 그것을 알아야 하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목표를 세웠으면 - 전략을 세우고 - 데이터 수집을 위해 조사를 해야 한다.

 

데이터 수집 방법

 

1차 조사

 

1차 조사는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현장 시험 등을 통해 가망고객에게서 직접 수집된 데이터로서 내가 직접 조사할 수도 있고 시장조사 회사에 조사를 의뢰할 수 있다. 내가 직접 조사할 경우 비용 절감뿐 아니라, 하고자 하는 제품의 시장에 관해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차 조사

 

2차 조사는 회사의 기록, 설문조사, 연구조사, 참고 도서 등 기존의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1차 조사보다 시간이 적게 들며, 비용도 적을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 표적성에는 1차 조사에 미치지 못하지만, 그래도 중요한 정보를 기대해 볼 수 있다.

 

포지셔닝 맵

부끄럽지만 내가 만든 포지셔닝 맵

포지셔닝 맵이란 시장 조사를 통한 내용을 바탕으로 브랜드가 원하는 포지션 이미지를 고객에게 인지시키는 활동이다. 포괄적으로 브랜딩이라 하며 다른 제품들과 여러분의 제품 사이의 거리를 더 가깝게 할 수도, 멀어지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IT업계에선 중요하다.

 

주의해야 할 점

  • 그리기 전 제품을 사용할 고객이 누구인지 명확해야 함
  • 해당 고객이 제품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가장 대표적인 속성 2가지를 설정
  • 해당 속성에 맞춰 경쟁사들을 포지셔닝 맵에 매핑
  • 마지막으로 자사의 제품을 올려 경쟁사의 제품과 비교
  • 포지셔닝 맵을 근거로 정확한 시장 진단 및 그 결과로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명심해야 할 점

  • 포인트는 X축과 Y축은 단순히 좋다 나쁘다의 개념이 아니라, 어떤 역량에 강점을 두고 집중하는 있는지를 정해야 함
  • 고객이 고려하는 2가지 지표를 두고 비교해야 함
  • 자사의 브랜드가 어디에 위치해야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
  • 포지셔닝맵을 근거로 정확한 시장진단을 하고, 그 결과로 향후 나아가야 될 방향성 등을 제시

포지셔닝의 대표적인 사례

 

포지셔닝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애플의 아이패드이다.

그 당시 모두가 핸드폰과 노트북 사이를 비집고 들어온 넷북에 집중하고 있을 때 아이패드를 출시하여 더욱 완벽하게 포지셔닝에 성공하였다고 본다.

 

느낀 점

이 처럼 오늘은 포지셔닝에 대해 공부를 했는데 인터넷에 자세하게 올라온 글 들이 많아서 집중해서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나중에 내가 프로덕트 매니저나 서비스 기획자가 되어서 제품을 출시 및 서비스 개선을 할 때 유용하게 쓸 일이 많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