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자/공부 과정

PM/PM/서비스 기획자 3가지의 차이는 뭘까?

쑤tory 2023. 4. 5. 21:18
PM/PM/서비스 기획자의 차이는?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를 공부하면서 처음 접하게 된 내용은 PM vs PM vs PO 이 3가지였다. 

먼저 내가 공부하고있는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가 있고 다음으로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 서비스 기획자가 존재한다. 공부한 내용에 따르면 실제로 현업에서 겹치는 업무도 많고 도메인마다 상황이 다른 만큼 어느 곳에선 프로젝트 매니저를 PM으로 혹은 서비스 기획자를 PM으로 부르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렇다면 각 직업군들의 특징을 정리해보자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 란?

 

 

초기 아이디어 단계부터 제품 출시를 총괄하는 담당자 즉 제품 전략을 관리하고(Product Strategy), 우선순위를 결정하고(Prioritization), 계획을 실행(Excecution)하는 포지션이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고객의 문제와 니즈를 이해하고, 다음에 구축하려는 것이 고객에게 적합한지 확인을하며 다양한 이해 관계자를 적절히 활용해 실제로 구축될 수 있도록 고객 및 제품 팀 간의 커뮤니케이션 및 다리 역할을 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

 

특정 기간과 예산 내에서 프로젝트를 계획, 실행 및 종료하는 일을 담당한다. 또한 조직의 목표를 충족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팀과 협력하여 작업을 하고 프로젝트의 리소스, 일정 및 예산을 관리하며 해당 프로젝트가 기간 내에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요약하자면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는 제품의 초기 아이디어부터 출시까지 개발 및 관리에 중점을 두는 역할이라 하면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는 특정 프로젝트의 실행 관리에 중점을 두는 역할이다.

 

서비스 기획자

 

도메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보통 웹 또는 앱 서비스의 유지 및 보수를 담당하는 역할이다.

특정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 또는 신규 서비스의 정책과 기능을 정의하고 IA(Information architecture)를 설계하며 User-Flow(유저 플로우)를 짜고 스토리보드 문서를 작성하기도 한다.

 

요약하자면 일반적으로 서비스 기획자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가 하는 지표 관리 및 분석 업무보다는 보다 디테일한 화면 설계, 스토리보드 작성 등의 업무 비중이 높다.

 

결론

 

결국 '기획' 이라는 업무는 유사하나 회사가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직무명이 달라질 수 있으니 지원하는 회사의 필요 역량을 보고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